다짜고짜 돈모으기/ETF

ETF 이름에 담긴 뜻 알아보기

머니머니파크 2025. 3. 12. 07:26

안녕하세요.
오늘은 ETF 이름에 담긴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요즘 투자의 2가지 트렌드라고 한다면
 
첫 번째 국내 주식보단 미국 주식 투자하기.
두 번째 직접 투자 보단 지수를 추종하는 ETF 투자.

가 될 것 같은데요,
 
ETF는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이며 ETF 종목명은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① 운용사

 
ETF명 앞에 붙은 영어는 운용사를 나타냅니다.
- KODEX : 삼성자산운용
- TIGER : 미래에셋자산운용
- RISE (구 KBSTAR) : 케이비자산운용
- ACE : 한국투자신탁운용
- SOL : 신한자산운용
- PLUS : 한화자산운용
- KIWOOM(구 KOSEF) : 키움투자자산운용
- HANARO : 엔에이치아문디자산운용
- 1Q : 하나자산운용
- TIMEFOLIO : 타임폴리오자산운용

ETF 자산 운용 규모는 삼성과 미래에셋이 압도적으로 우위를 보이고 있습니다.

 

② 투자 대상 자산

 
ETF는 어떤 자산의 지수를 추종할 것인지를 이름에서 나타내기 때문에 상세 투자 내역을 보지 않아도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24년 2분기에 일평균 거래대금 상위 Top5를 꼽아보면 선물인버스/레버리지 등 공격적인 투자가 많았던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인버스(Inverse) : 하락에 배팅하는 상품
- 레버리지(Leverage) : 추적대상 지수의 변동율을 +2배 또는 -2배만큼 운영하는 상품
 
주가의 하락에 배팅하는 인버스 투자도 투자 중 하나의 일환이지만 어쨋든 시장의 역행을 바란다는 것만으로 비난의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레버리지의 경우 적은 비용으로 더 큰 성과를 노리는 배팅성 투자 방식일 수 있겠습니다만 장기 투자보다는 단기 모텐텀 투자에 효과적입니다.
 

③ 투자옵션


마지막으로 ETF 이름 맨 뒤에 붙은 영어는 투자방식을 뜻합니다.

- TR : 배당금 재투자 상품
- (H) : 환헤지 상품

TR은 투자한 ETF에서 배당금이 나올 경우 그 배당금을 활용하여 다시 재투자하는 방식입니다. 배당금을 받아 다시 투자해도 되겠지만 배당을 받으면 세금을 떼지만 세금을 떼지 않은채로 편하게 투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최근 해외 ETF 상품의 배당금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기로 결정하면서 해외 자산 투자의 TR 상품이 사라진 점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환헤지란 환율 변동에도 수익율이 변화되지 않도록 일정 금액을 투자하여 환율 변동에 따른 수익 변화를 최소화하는 방식입니다. 환헤지 표기가 없으면 환에도 수익이 연동되는 환노출 상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나요?
다음에는 레버리지와 환헤지 상품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오늘도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